자화상
윤동주
산모퉁이를 돌아 논가 외딴 우물을 홀로
찾아가선 가만히 들여다봅니다.
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
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습니다.
그리고 한 사나이가 있습니다.
어쩐지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.
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가엾어집니다. 도로 가 들여다보니 사나이는 그대로 있습니다.
다시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.
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그리워집니다.
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고 추억처럼 사나이가 있습니다.
이 시도 유명한 윤동주 시인의 시인데요. 서정주 시인의 자화상과 헷갈리지 마세요.
이 시 또한 일제치하 속에서 윤동주 시인이 항일 투쟁을 위해 써내린 시 중 하나이죠.
이 시는 윤동주 시인의 친구 송명규를 모티브로 쓰신 시입니다.
시를 보면 윤동주 시인은 우물을 자아성찰의 매개체로 사용하며 우물을 통해
자신의 내면을 보며 성찰하고 있죠 이렇게 일제시대에 투쟁하며 독립을 위해
운동하지 못 하는 자신을 탓하며 그러한 자신을 우물을 통해 성찰한다.라고 볼 수 있는 것이죠.
과연 우리가 그 시대 그 상황 이었다면 독립을 위해 목숨바쳐 운동 할 수 있었을까요?